[library-web] Updated Korean translation



commit 968bdffb2bcade5ce61ff0155db99c7d085d640c
Author: Seong-ho Cho <shcho gnome org>
Date:   Tue Sep 9 17:23:45 2014 +0900

    Updated Korean translation

 po/ko.po |  780 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 1 files changed, 401 insertions(+), 379 deletions(-)
---
diff --git a/po/ko.po b/po/ko.po
index f58eed9..07a9a62 100644
--- a/po/ko.po
+++ b/po/ko.po
@@ -1,20 +1,22 @@
 # Changwoo Ryu <cwryu debian org>, 2007.
 # Seung Soo Ha <sungsuha gmail com>, 2010.
 # Seong-ho Cho <darkcircle 0426 gmail com>, 2011, 2012.
+# Seong-ho Cho <shcho gnome org>, 2014.
 #
 msgid ""
 msgstr ""
 "Project-Id-Version: library-web\n"
 "Report-Msgid-Bugs-To: http://bugzilla.gnome.org/enter_bug.cgi?";
 "product=website&keywords=I18N+L10N&component=library.gnome.org\n"
-"POT-Creation-Date: 2012-09-20 16:48+0000\n"
-"PO-Revision-Date: 2012-09-21 15:40+0900\n"
-"Last-Translator: Seong-ho Cho <darkcircle 0426 gmail com>\n"
+"POT-Creation-Date: 2014-09-08 14:17+0000\n"
+"PO-Revision-Date: 2014-09-09 04:38+0900\n"
+"Last-Translator: Seong-ho Cho <shcho gnome org>\n"
 "Language-Team: GNOME Korea <gnome-kr googlegroups com>\n"
-"Language: \n"
+"Language: Korean\n"
 "MIME-Version: 1.0\n"
 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 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X-Generator: Poedit 1.5.5\n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1
 msgid "GNOME Documentation Library"
@@ -38,9 +40,8 @@ msgid ""
 "system, and thus, requires some learning to use to the fullest. To make that "
 "easier, we've provided some very useful documentation."
 msgstr ""
-"그놈은(사용자 친화적이긴 하지만) 크고 복잡한 시스템이고, 완전히 활용하려면 배"
-"울 필요가 있습니다. 그놈 활용법을 배우기 쉽도록 몇 가지 문서가 준비되어 있습"
-"니다."
+"그놈은(사용자 친화적이긴 하지만) 크고 복잡한 시스템이기에, 제대로 활용하려면 "
+"배워야합니다. 그놈 활용법을 배우기 쉽게 준비한 몇 가지 문서가 있습니다.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6
 msgid "Developers"
@@ -65,9 +66,9 @@ msgid ""
 "their specific needs, and system administrators to manage them. Here you "
 "will find information on tools and methods to work with many GNOME desktops."
 msgstr ""
-"세계 곳곳의 특정 요구에 따른 크고 작은 그놈 배포판이 있습니다. 그리고 그 그"
-"놈 적용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들이 있습니다. 여기에 여러 개의 그놈 데스크톱"
-"을 다루는 방법과 도구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."
+"세계 곳곳에는 특별한 목적으로 만든 크고 작은 그놈 배포판이 있으며, 이 배포판"
+"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가 있습니다. 이곳에는 여러 그놈 데스크톱을 다루는 방"
+"법과 도구 정보가 있습니다.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10
 msgid "Available Languages:"
@@ -98,222 +99,218 @@ msgid "Development Guides"
 msgstr "개발 안내서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17
+msgid "How Do I...?"
+msgstr "어떻게 할까요...?"
+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18
+msgid "C++ Development"
+msgstr "C++ 개발"
+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19
 msgid "Manuals"
 msgstr "설명서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18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0
 msgid "Tutorials"
 msgstr "따라하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19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1
 msgid "Frequently Asked Questions"
 msgstr "자주 하는 질문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0 ../data/overlay.xml.in.h:2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2 ../data/overlay.xml.in.h:18
 msgid "Others"
 msgstr "기타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1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3
 msgid "Overview"
 msgstr "개요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4
 msgid "Tools"
 msgstr "도구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3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5
 msgid "GNOME Documentation Project"
 msgstr "그놈 문서 프로젝트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4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6
 msgid ""
 "There is no translation of this documentation for your language; the "
 "documentation in its original language is displayed instead."
-msgstr ""
-"이 문서는 현재 언어로 된 번역이 없습니다. 본래 언어로 된 문서를 대신 표시합니"
-"다."
+msgstr "이 문서는 현재 언어의 번역이 없습니다. 원어 문서를 대신 표시합니다.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5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7
 msgid "see other translations for this documentation"
 msgstr "이 문서의 다른 번역 보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6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8
 msgid "development version"
 msgstr "개발 버전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7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29
 msgid "Search"
 msgstr "검색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8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0
 msgid "Lookup Symbol"
 msgstr "심볼 찾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29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1
 msgid "documentation on development version"
 msgstr "개발 버전에 대한 문서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0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2
 msgid "See also:"
 msgstr "참고: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1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3
 msgid ""
 "This module is heading towards planned deprecation. It will continue to be "
 "supported and API/ABI stable throughout the GNOME 2.x series, but we do not "
 "recommend using it in new applications unless you require functionality that "
 "has not already been moved elsewhere."
 msgstr ""
-"이 모듈은 앞으로 사용을 멈출 계획입니다. 이 모듈은 그놈 2.x 시리즈에서는 계"
-"속 지원될 것이고 API/ABI 호환성을 유지할 것입니다. 하지만 다른 모듈로 아직 옮"
-"겨지지 않은 기능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, 새로운 프로그램에서는 이 모듈을 사용"
-"하지 않기를 권장합니다."
+"이 모듈은 앞으로 사용을 멈출 계획입니다. 그놈 2.x 시리즈에서는 계속 지원하며 "
+"API/ABI 호환성을 유지합니다. 하지만 다른 모듈로 아직 옮겨지지 않은 기능을 사"
+"용하는 게 아니라면, 새로운 프로그램에서는 이 모듈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"
+"다.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4
 msgid "Standards"
 msgstr "표준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3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5
 msgid "Language Bindings"
 msgstr "언어 바인딩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4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6
 msgid "Plugins for GNOME Application"
 msgstr "그놈 프로그램 플러그인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5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7
 msgid "Preferred language is loaded from a cookie."
 msgstr "사용할 언어는 쿠키에서 읽어들입니다.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6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8
 msgid ""
 "Unable to display document in preferred language loaded from cookie, as "
 "translation probably does not exist."
 msgstr ""
-"쿠키에서 읽어들인 언어로 문서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. 아마도 번역이 없는 것 같"
-"습니다."
+"쿠키에서 읽어들인 언어로 문서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. 번역이 없는 것 같습니다.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7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39
 msgid "Remove cookie"
 msgstr "쿠키 제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8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0
 msgid "Downloads"
 msgstr "다운로드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39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1
 msgid ""
 "Note the API references are usually available as packages in the "
 "distributions and visible via the Devhelp tool."
 msgstr ""
-"API 참고서는 배포판의 패키지로도 있고 개발자 도움말 도구를 통해 볼 수 있습니"
-"다."
+"API 참고서는 배포판의 패키지로 존재하며, devhelp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0
-msgid "more versions, languages, or options..."
-msgstr "다른 버전, 언어, 옵션..."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2
+msgid "Previous Versions"
+msgstr "이전 버전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1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3
 msgid "external resource"
 msgstr "외부 자원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4
 msgid "News"
 msgstr "새 소식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3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5
 msgid "Projects"
 msgstr "프로젝트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4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6
 msgid "Art"
 msgstr "아트워크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5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7
 msgid "Support"
 msgstr "지원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6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8
 msgid "Development"
 msgstr "개발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7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49
 msgid "Community"
 msgstr "커뮤니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8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0
 msgid "Same documents, formatted as a single HTML file"
 msgstr "단일 HTML 파일과 같이 형식화된 동일 문서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49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1
 msgid "Nightly"
 msgstr "첨단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0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2
 msgid "External Tools and Resources"
 msgstr "외부 도구와 자원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1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3
 msgid "Switching Language"
 msgstr "언어 전환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4
 msgid "Active Language:"
 msgstr "활성화된 언어: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3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55
 msgid "GNOME Developer Center"
 msgstr "그놈 개발 센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4
-msgid "10-minute Tutorials"
-msgstr "10분 따라하기"
-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55
-msgid "Getting Started"
-msgstr "시작하며"
-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56
-msgid "Get ready for GNOME Development"
-msgstr "그놈 개발을 위한 준비"
+msgid "Code examples and demos"
+msgstr "코드 예제 및 시연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57
-msgid "Download GNOME Development Tools"
-msgstr "그놈 개발 도구 다운로드"
+msgid "Getting Started"
+msgstr "시작하며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58
-msgid "Platform Overview"
-msgstr "플랫폼 개요"
+msgid "Application development overview"
+msgstr "프로그램 개발 개요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59
-msgid "API Documentation"
-msgstr "API 문서"
+msgid "Quick Lookup"
+msgstr "빠른 찾아보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0 ../data/overlay.xml.in.h:10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0 ../data/overlay.xml.in.h:6
 msgid "User Interface"
 msgstr "사용자 인터페이스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1 ../data/overlay.xml.in.h:11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1 ../data/overlay.xml.in.h:7
 msgid "Multimedia"
 msgstr "멀티미디어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2 ../data/overlay.xml.in.h:12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2 ../data/overlay.xml.in.h:8
 msgid "Communication"
 msgstr "통신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3 ../data/overlay.xml.in.h:14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3 ../data/overlay.xml.in.h:10
 msgid "Data Storage"
 msgstr "데이터 저장소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4 ../data/overlay.xml.in.h:16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4 ../data/overlay.xml.in.h:12
 msgid "Utilities"
 msgstr "유틸리티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5 ../data/overlay.xml.in.h:9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5 ../data/overlay.xml.in.h:5
 msgid "Core"
 msgstr "코어"
 
-#: ../data/catalog.xml.in.h:66 ../data/overlay.xml.in.h:13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66 ../data/overlay.xml.in.h:9
 msgid "System Integration"
 msgstr "시스템 통합"
 
@@ -323,7 +320,7 @@ msgstr "데스크톱 통합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68
 msgid "Nightly Generated Documents"
-msgstr "밤새 만들어진 문서들"
+msgstr "밤새 만든 문서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69
 msgid "Deprecated API References"
@@ -337,78 +334,81 @@ msgstr "그놈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"
 
 #: ../data/catalog.xml.in.h:71
 msgid "This documentation is generated from the following tarball:"
-msgstr "이 문서는 다음 타르볼에서 생겨났습니다:"
+msgstr "이 문서는 다음 타르볼에서 나왔습니다: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
-msgid ""
-"The guides provide the common practices used in code and interface design "
-"within the GNOME platform as well as detailed knowledge about some "
-"applications and components."
-msgstr ""
-"이 안내서에는 그놈 플랫폼의 코드와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"
-"들을 설명합니다. 또 일부 프로그램과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들어 있습니"
-"다."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2
+msgid "Got a comment? Spotted an error? Found the instructions unclear?"
+msgstr "답변을 얻었습니까? 오류를 찾았습니까? 불분명한 지침이 있습니까?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
-msgid "References"
-msgstr "참고"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3
+msgid "Send feedback about this page."
+msgstr "이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세요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
-msgid ""
-"The references contain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, list of "
-"functions, classes and methods of the GNOME platform libraries and the "
-"standards used within the GNOME platform."
-msgstr ""
-"이 참고서에는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, 그놈 플랫폼 라이브러리"
-"의 함수, 클래스, 메소드와 그놈 플랫폼에 사용하는 표준이 들어 있습니다."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4
+msgid "GNOME Platform Demos"
+msgstr "그놈 플랫폼 시연"
+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5
+msgid "Introductory tutorials to help you get started."
+msgstr "새로 시작할 여러분을 도와드릴 입문자 지침서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
-msgid "Development Tools"
-msgstr "개발 도구"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6
+msgid "Human Interface Guidelines"
+msgstr "휴먼 인터페이스 지침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7
+msgid "Advice and guidelines on designing effective interfaces with GTK+."
+msgstr "GTK+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의 조언과 지침입니다."
+
+#: ../data/catalog.xml.in.h:78
 msgid ""
-"The GNOME developer suite is a set of tools to ease the life of developers; "
-"it features a graphical interface builder, an integrated help system for API "
-"reference and more."
+"Welcome to the GNOME developer center! Here you will find all the "
+"information that you need to create fantastic software using GNOME "
+"technologies."
 msgstr ""
-"그놈 개발자 모음은 개발자의 삶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 도구의 모음입니다. 그래"
-"픽 인터페이스 빌더, API 참고서의 통합 도움말 시스템 등이 들어 있습니다."
+"GNOME 개발 센터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! 그놈 기술을 활용하여 멋진 소프트웨어"
+"를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분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여기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
-msgid "GNOME Development"
-msgstr "그놈 개발"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
+msgid "A growing selection of development guides on common topics."
+msgstr "늘어나고 있는 개발 부분 내용은 일반적인 주제로 안내합니다."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
+msgid "API Reference"
+msgstr "API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
 msgid ""
-"Various links to learn more about GNOME development and how to get involved."
-msgstr "다양한 링크를 통해 그놈 개발에 대해 배우고 어떻게 참여할지 배웁니다."
+"Comprehensive API reference documentation for GNOME libraries, including GTK"
+"+."
+msgstr ""
+"GTK+와 같은 그놈 라이브러리 내용이 들어있는 총체적 API 참고 문서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
 msgid "Accessibility"
 msgstr "접근성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
 msgid "Introspection"
 msgstr "Introspection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
 msgid "Python"
 msgstr "파이썬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
 msgid "C++"
 msgstr "C++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
 msgid "Java"
 msgstr "자바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
 msgid "Vala"
 msgstr "Vala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
 msgid ""
 "GLib provides the core application building blocks for libraries and "
 "applications written in C. It provides the core object system used in GNOME, "
@@ -419,21 +419,21 @@ msgstr ""
 "그놈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 시스템과, 메인 루프 구현, 그리고 문자열과 흔히 사"
 "용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유틸리티 함수 모음이 들어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0
 msgid "GObject provides the object system used for Pango and GTK+."
 msgstr "GObject는 Pango와 GTK+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 시스템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1
 msgid ""
 "GIO provides a modern and easy-to-use VFS API. It provides a file system "
 "abstraction which allows applications to access local and remote files with "
 "a single consistent API."
 msgstr ""
-"GIO는 사용하기 쉬운 최신의 VFS API를 제공합니다. 이는 프로그램이 단순하고 견"
-"고한 API를 통해 로컬과 원격에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"
-"템 추상화를 제공합니다."
+"GIO는 사용하기 쉬운 최신의 VFS API를 제공합니다. 단순하고 견고한 API를 통해 "
+"프로그램에서 로컬과 원격에 있는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 시스템 추상화를 "
+"제공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2
 msgid ""
 "ATK provides the set of accessibility interfaces that are implemented by "
 "other toolkits and applications. Using the ATK interfaces, accessibility "
@@ -443,13 +443,13 @@ msgstr ""
 "다. ATK 인터페이스를 사용해, 접근성 도구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보고 조종할 "
 "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3
 msgid ""
 "The AT-SPI library provides interfaces which are used by accessibility "
 "technologies."
 msgstr "AT-SPI 라이브러리는 접근성 기술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4
 msgid ""
 "GAIL provides an implementation of the ATK interfaces for GTK+ and GNOME "
 "libraries, allowing accessibility tools to interact with applications "
@@ -458,7 +458,7 @@ msgstr ""
 "GAIL은 GTK+ 및 그놈 라이브러리를 위한 ATK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. 접근성 도"
 "구가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5
 msgid ""
 "Pango is the core text and font handling library used in GNOME applications. "
 "It has extensive support for the different writing systems used throughout "
@@ -468,7 +468,7 @@ msgstr ""
 "다. Pango는 세계 곳곳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문자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지원합니"
 "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6
 msgid ""
 "GdkPixbuf is a library for image loading and manipulation. The GdkPixbuf "
 "documentation contains both the programmer's guide and the API reference."
@@ -476,15 +476,14 @@ msgstr ""
 "GdkPixbuf는 그림을 읽어들이고 조작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GdkPixbuf 문서에는 "
 "프로그래머 안내서와 API 참고서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7
 msgid ""
 "An intermediate layer which isolates GTK+ from the details of the windowing "
 "system."
 msgstr ""
-"GTK+에서 윈도우 시스템의 세부 사항에 신경 쓰지 않도록 해 주는 중간 계층입니"
-"다."
+"GTK+에서 윈도우 시스템의 세부 사항에 신경 쓰지 않게 해 주는 중간 계층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8
 msgid ""
 "GTK+ is the primary library used to construct user interfaces in GNOME "
 "applications. It provides user interface controls and signal callbacks to "
@@ -494,26 +493,26 @@ msgstr ""
 "입니다. GTK+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트롤과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하는 시그널 콜"
 "백이 들어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29
 msgid "libxml2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xml2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0
 msgid "Powerful and feature complete XML handling library."
 msgstr "강력하고 완전한 기능을 갖춘 XML 처리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libxml2 API reference,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3
 msgid "http://xmlsoft.org/html/libxml-lib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4
 msgid "libxslt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xslt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3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5
 msgid ""
 "The XSLT C library developed for the Gnome project. XSLT itself is a an XML "
 "language to define transformation for XML. Libxslt is based on libxml2."
@@ -524,11 +523,11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libxslt API reference,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8
 msgid "http://xmlsoft.org/XSLT/html/libxslt-lib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39
 msgid ""
 "Libglade is a library for constructing user interfaces dynamically from XML "
 "descriptions. Libglade allow programmers to construct their user interfaces "
@@ -540,16 +539,16 @@ msgstr ""
 "용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고, 그렇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프로그램에서 "
 "읽어들일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0
 msgid ""
 "The libgnome library provides a number of useful routines for building "
 "modern applications, including session management, activation of files and "
 "URIs, and displaying help."
 msgstr ""
 "libgnome 라이브러리는 최신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이용하는 세션 관리, 파일과 "
-"URI 사용, 도움말 표시와 같은 여러가지 유용한 루틴들이 들어 있습니다."
+"URI 사용, 도움말 표시와 같은 여러가지 유용한 루틴이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1
 msgid ""
 "The libgnomeui library provides additional widgets for applications. Many of "
 "the widgets from libgnomeui have already been ported to GTK+."
@@ -557,7 +556,7 @@ msgstr ""
 "libgnomeui 라이브러리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추가 위젯이 들어 있습니다. "
 "libgnomeui의 위젯 상당수는 이미 GTK+로 옮겨져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2
 msgid ""
 "GnomeVFS is the core library used to access files and folders in GNOME "
 "applications. It provides a file system abstraction which allows "
@@ -567,40 +566,40 @@ msgstr ""
 "니다. 단일하고 일관된 API를 통해 로컬과 원격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 시"
 "스템을 추상화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3
 msgid ""
 "GConf provides the daemon and libraries for storing and retrieving "
 "configuration data."
 msgstr ""
 "GConf는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데몬과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4
 msgid ""
 "The GnomeCanvas widget provides a flexible widget for creating interactive "
 "structured graphics."
 msgstr ""
 "그놈 캔버스 위젯은 구조화된 그래픽을 만들 때 사용하는 유연한 위젯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4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5
 msgid "libart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art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6
 msgid ""
 "Libart functions - Libart handles the drawing capabilities in GNOME. All "
 "complex rendering is handled here."
 msgstr ""
-"libart 함수 - libart는 그놈의 그리기 기능들을 처리합니다. 복잡한 렌더링 작업"
-"들을 모두 여기서 처리합니다."
+"libart 함수 - libart는 그놈의 그리기 기능을 처리합니다. 복잡한 렌더링 작업을 "
+"모두 여기서 처리합니다.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libart API reference,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49
 msgid "http://www.gnome.org/~mathieu/libart/libar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0
 msgid ""
 "ORBit is a fast and lightweight CORBA server. GNOME's component "
 "architecture, Bonobo, is built on top of CORBA."
@@ -608,7 +607,7 @@ msgstr ""
 "ORBit는 빠르고 가벼운 CORBA 서버입니다. 그놈의 콤포넌트 구조인 Bonobo는 "
 "CORBA 위에 만들어져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1
 msgid ""
 "Bonobo-activation allows you to browse the available CORBA servers on your "
 "system (running or not). It keeps track of the running servers so that if "
@@ -619,7 +618,7 @@ msgstr ""
 "살펴볼 수 있습니다. 실행 중인 서버를 추적하고 있으므로 실행 중인 서버를 요청"
 "하는 경우, 서버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 실행 중인 서버를 이용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2
 msgid ""
 "Bonobo is a framework for creating reusable components for use in GNOME "
 "applications, built on top of CORBA."
@@ -627,7 +626,7 @@ msgstr ""
 "Bonobo는 그놈 프로그램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드는, CORBA 위에 만들어"
 "진 프레임워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3
 msgid ""
 "The Bonobo UI library provides a number of user interface controls using the "
 "Bonobo component framework."
@@ -635,15 +634,15 @@ msgstr ""
 "Bonobo UI 라이브러리는 Bonobo 콤포넌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사용자 "
 "인터페이스 컨트롤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4
 msgid "Library for rendering of SVG vector graphics."
 msgstr "SVG 벡터 그래픽을 그리는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5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5
 msgid "Terminal emulator widget used by GNOME terminal."
 msgstr "그놈 터미널이 사용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위젯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6
 msgid ""
 "libsoup is an HTTP client/server library for GNOME. It uses GObjects and the "
 "glib main loop, to integrate well with GNOME applications."
@@ -651,11 +650,11 @@ msgstr ""
 "libsoup은 그놈 HTTP 클라이언트/서버 라이브러리입니다. GObject와 glib 메인루프"
 "를 사용하므로, 그놈 프로그램과 잘 엮여 돌아갑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7
 msgid "A library used for programming panel applets for the GNOME panel."
 msgstr "그놈 패널의 패널 애플릿 프로그래밍에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8
 msgid ""
 "Structured File Library (GSF) is an I/O abstraction for reading/writing "
 "compound files."
@@ -663,16 +662,16 @@ msgstr ""
 "Structured File Library(GSF)는 복잡한 파일을 읽고 쓰는데 사용하는 입출력 계층"
 "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59
 msgid ""
 "GObject-based API for handling resource discovery and announcement over SSDP."
 msgstr "자원 발견과 SSDP를 통한 알림을 조작하기 위한 GObject 기반 API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0
 msgid "Core UPnP API built on top of gssdp"
-msgstr "gssdp위에 만들어진 코어 UPnP API"
+msgstr "gssdp를 기반으로 만든 핵심 UPnP API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1
 msgid ""
 "Small utility library that aims to ease the handling and implementation of "
 "UPnP audio/video profiles"
@@ -680,18 +679,18 @@ msgstr ""
 "UPnP 오디오/비디오 프로파일 구현과 조작을 쉽게 하도록 하는 작은 유틸리티 라이"
 "브러리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2
 msgid "Library to ease DLNA-related bits for applications using gupnp."
 msgstr ""
 "gupnp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DLNA와 관련된 비트를 다루기 용이하게 하기 위"
 "한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3
 msgid "Library to handle UPnP Internet Gateway Device port mappings."
 msgstr ""
 "UPnP 인터넷 게이트 웨이 장치의 포트 매핑을 조작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4
 msgid ""
 "Cairo is a 2D graphics library with support for multiple output devices. It "
 "is designed to produce consistent output on all output media while taking "
@@ -701,7 +700,7 @@ msgstr ""
 "이 하드웨어 가속이 가능할경우 이의 장점을 취하면서 모든 출력 미디어에 대한 일"
 "관된 출력물을 내도록 설계되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6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5
 msgid ""
 "Clutter is a GObject based library for creating fast, visually rich, "
 "graphical user interfaces."
@@ -709,7 +708,7 @@ msgstr ""
 "Clutter는 보다 빠른 생산, 시각적인 화려함,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"
 "GObject 기반 라이브러리 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6
 msgid ""
 "JSON-GLib is a library for reading and parsing JSON using GLib and GObject "
 "data types and API."
@@ -717,7 +716,7 @@ msgstr ""
 "JSON-Glib는 Glib와 GObject 데이터형과 API를 사용하여 JSON을 읽어들이고 해석하"
 "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7
 msgid ""
 "COGL is a low level OpenGL abstraction library developed for (and part of) "
 "Clutter. It is used primarily by Clutter to provide a common rendering API "
@@ -726,14 +725,14 @@ msgid ""
 msgstr ""
 "COGL은 Clutter(의 일부이며, 이)를 위해 개발된 저수준 OpenGL 추상화 라이브러"
 "리 입니다. 이는 처음에 OpenGL 1.4 이상, 그리고 OpenGL ES 1.1과 2.0위에서 몰"
-"래 동작하는 일반 렌더링 API를 제공하기 위해 Clutter에서 사용되었습니다."
+"래 동작하는 일반 렌더링 API를 제공하려고 Clutter에서 사용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8
 msgid "Libchamplain is a C library providing a ClutterActor to display maps."
 msgstr ""
 "Libchanplain은 디스플레이 맵에 ClutterActor를 제공하는 C 라이브러리 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69
 msgid ""
 "Libchamplain-gtk is a C library on top of libchamplain providing a Gtk+ "
 "widget to display maps in GTK+ applications."
@@ -741,7 +740,7 @@ msgstr ""
 "Libchamplain-gtk는 GTK+ 프로그램에서 Gtk+를 디스플레이 맵에 제공하는 "
 "libchamplain의 위에 존재하는 C 라이브러리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0
 msgid ""
 "libcanberra is an implementation of the XDG Sound Theme and Name "
 "Specifications, for generating event sounds on free desktops,"
@@ -749,26 +748,25 @@ msgstr ""
 "libcanberra는 free desktop에서의 이벤트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XDG 사운드 테마"
 "와 이름 명세에 대한 구현물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1
 msgid ""
 "libnotify is a library that sends desktop notifications to a notification "
 "daemon, as defined in the Desktop Notifications spec. These notifications "
 "can be used to inform the user about an event or display some form of "
 "information without getting in the user's way."
 msgstr ""
-"libnotify는 데스크톱 알림 명세서에 정의된대로 알림 데몬에 데스크톱 알림들을 "
-"보내는 라이브러리 입니다. 이러한 알림들은 사용자에게 이벤트나 사용자의 의도"
-"를 구하지 않고도 어떤 유형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벤트와 관련된 것을 사용자에"
-"게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."
+"libnotify는 데스크톱 알림 명세서에 정의된대로 알림 데몬에 데스크톱 알림을 보"
+"내는 라이브러리 입니다. 이러한 알림은 사용자에게 이벤트나 사용자의 지침에 구"
+"하지 않고도 어떤 유형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벤트와 관련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"
+"리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2
 msgid ""
 "D-Bus is a message bus system, a simple way for applications to talk to one "
 "another."
-msgstr ""
-"D-BUS란 응용프로그램간의 단순한 의사소통을 위한 메시지 버스 시스템입니다."
+msgstr "D-BUS란 응용프로그램간의 단순 의사소통용 메시지 버스 시스템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3
 msgid ""
 "Unique is a library for writing single-instance applications. If you launch "
 "a single-instance application twice, the second instance will either just "
@@ -777,13 +775,13 @@ msgid ""
 "the IPC machinery needed to send messages to a running instance, and also "
 "handling startup notification."
 msgstr ""
-"Unique는 단일 인스턴스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입니다. 단일 인스"
-"턴스 프로그램을 두번 실행시켰을 때, 두번째 인스턴스는 종료하거나 실행중인 인"
-"스턴스에 메시지를 보낼 것입니다. Unique는 실행중인 인스턴스에 메시지를 보낼 "
-"필요가 있는 모든 IPC를 처리하며 시작시 알림을 다루는 베이스 클래스를 제공함으"
-"로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."
+"Unique는 단일 인스턴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단일 인스턴스 프"
+"로그램을 두번 실행시켰을 때, 두번째 인스턴스는 종료하거나 실행 중인 인스턴스"
+"에 메시지를 보냅니다. Unique는 실행 중인 인스턴스에 메시지를 보내려는 모든 "
+"IPC를 처리하며 시작시 알림을 다루는 기반 클래스를 제공하여 단일 인스턴스 프로"
+"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4
 msgid ""
 "The GNOME Devtools Library package provides a docking system and several "
 "utilities useful to GNOME development tools and GNOME applications in "
@@ -792,11 +790,11 @@ msgstr ""
 "그놈 Devtools 라이브러리 패키지는 보통 그놈 프로그램과 그놈 개발 툴에 유용한 "
 "몇몇 유틸리티들과 시스템의 결합(도킹)을 제공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7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5
 msgid "GStreamer Core Reference Manual"
 msgstr "GStreamer 코어 참고 설명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6
 msgid ""
 "Powerful framework for creating multimedia applications. Supports both Audio "
 "and Video."
@@ -804,15 +802,15 @@ msgstr ""
 "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강력한 프레임워크 입니다. 오디오와 "
 "비디오 모두 지원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7
 msgid "GStreamer Library Reference Manual"
 msgstr "GStreamer 라이브러리 참고 설명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8
 msgid "GStreamer Core Plugins Reference Manual"
 msgstr "GStreamer 코어 플러그인 참고 설명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79
 msgid ""
 "GtkGLExt is an OpenGL extension to GTK+. It provides additional GDK objects "
 "which support OpenGL rendering in GTK+ and GtkWidget API add-ons to make GTK"
@@ -822,7 +820,29 @@ msgstr ""
 "기 위한 GtkWidget API와 GTK+에서 OpenGL 렌더링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 GDK 객"
 "체를 지원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0
+msgid ""
+"libgit2-glib is a glib library which wraps libgit2 providing making it "
+"easier to develop manage git repositories in a GObject oriented application."
+msgstr ""
+"libgit2-glib는 GObject 기반 프로그램에서 git 저장소 관리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"
+"할 수 있도록 하는 libgit2 래핑 glib라이브러리 입니다."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1
+msgid "WebKit2GTK+ Reference Manual"
+msgstr "WebKit2GTK+ 참고서"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2
+msgid "Web content rendering for the GNOME Platform"
+msgstr "그놈 플랫폼의 웹 컨텐트 렌더링"
+
+#. URL to *translated* libxml2 API reference,
+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5
+msgid "http://webkitgtk.org/reference/webkit2gtk/stable/index.html";
+msgstr "http://webkitgtk.org/reference/webkit2gtk/stable/index.html";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6
 msgid ""
 "libpeas is a gobject-based plugins engine, and is targetted at giving every "
 "application the chance to assume its own extensibility."
@@ -830,13 +850,13 @@ msgstr ""
 "libpeas는 gobject기반 플러그인 엔진이며 자체적 확장성을 고려할 기회를 모든 프"
 "로그램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7
 msgid ""
 "libzapojit is a GLib/GObject wrapper for the SkyDrive and Hotmail REST APIs"
 msgstr ""
-"libzapojit은 스카이드라이브와 핫메일 REST API에 대한 GLib/GObject 래퍼입니다."
+"libzapojit은 스카이드라이브와 핫메일 REST API용 GLib/GObject 래퍼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8
 msgid ""
 "libsecret is a library for storing and retrieving passwords and other "
 "secrets. It communicates with the \"Secret Service\" using DBus."
@@ -844,163 +864,171 @@ msgstr ""
 "libsecret은 암호와 다른 기밀요소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DBus"
 "를 사용한 \"기밀 서비스\"와 통신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89
 msgid ""
 "dconf is a low-level configuration system.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"
 "backend to GSettings on platforms that don't already have configuration "
 "storage systems."
 msgstr ""
 "dconf는 저수준 환경설정 시스템입니다. 주된 목적은 환경설정 저장 시스템을 가지"
-"고 있지 않은 플랫폼에 GSettings의 백엔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."
+"고 있지 않은 플랫폼으로의 GSettings의 백엔드 제공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8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0
 msgid "telepathy-glib Reference Manual"
 msgstr "telepathy-glib 참고 설명서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telepathy-glib API reference,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3
 msgid "http://telepathy.freedesktop.org/doc/telepathy-glib/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4
 msgid "GTK+ 2.0 Tutorial"
 msgstr "GTK+ 2.0 따라하기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5
 msgid "GTK+ FAQ"
 msgstr "GTK+ FAQ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6
 msgid "PyGTK Reference Manual"
 msgstr "PyGTK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7
 msgid "PyGObject Reference Manual"
 msgstr "PyGObject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8
 msgid "libsigc++ Documentation"
 msgstr "libsigc++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99
 msgid "libxml++ Documentation"
 msgstr "libxml++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0
 msgid "glibmm Documentation"
 msgstr "glib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9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1
 msgid "gtksourceviewmm Documentation"
 msgstr "gtksource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2
 msgid "gtkmm Documentation"
 msgstr "gtk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3
 msgid "pangomm Documentation"
 msgstr "pango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4
 msgid "atkmm Documentation"
 msgstr "atk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5
 msgid "gconfmm Documentation"
 msgstr "gconf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6
 msgid "libvtemm Documentation"
 msgstr "libvte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7
 msgid "librsvgmm Documentation"
 msgstr "librsvg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8
 msgid "libgdamm Documentation"
 msgstr "libgda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9
 msgid "libgda-uimm Documentation"
 msgstr "libgda-ui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0
 msgid "gstreamermm Documentation"
 msgstr "gstreamer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0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1
 msgid "goocanvasmm Documentation"
 msgstr "goocanvas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2
 msgid "gtkglextmm Documentation"
 msgstr "gtkglext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3
 msgid "cluttermm Documentation"
 msgstr "clutter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4
 msgid "clutter-gtkmm Documentation"
 msgstr "clutter-gtk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5
 msgid "clutter-box2dmm Documentation"
 msgstr "clutter-box2dmm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6
 msgid "libsigc++ Tutorial"
 msgstr "libsigc++ 도움말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7
+msgid "The Clutter Cookbook"
+msgstr "클러터 제대로 배우기"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8
 msgid "librygel-core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rygel-core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9
 msgid "librygel-renderer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rygel-renderer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0
+msgid "librygel-renderer-gst Reference Manual"
+msgstr "librygel-renderer-gst 참고서"
+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1
 msgid "librygel-server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rygel-server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8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2
 msgid "libglom Reference Manual"
 msgstr "libglom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19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3
 msgid "Glom Python Documentation"
 msgstr "Glom 파이선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4
 msgid "libxml++ Tutorial"
 msgstr "libxml++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5
 msgid "java-gnome API Documentation"
 msgstr "java-gnome API 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6
 msgid "Java Interfaces for GTK+, GNOME and related libraries"
 msgstr "GTK+를 위한 자바 인터페이스 그놈 및 관련 라이브러리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7
 msgid "Vala API References"
 msgstr "Vala API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8
 msgid "Vala API References for GTK+, GNOME and related libraries"
 msgstr "GTK+를 위한 Vala API, 그놈 그리고 관련 라이브러리에 대한 참고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9
 msgid "GTK+ Programming Tutorial"
 msgstr "GTK+ 프로그래밍 따라하기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2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0
 msgid ""
 "This GTK+ tutorial is written for the C programming language. It is suitable "
 "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programmers."
@@ -1011,42 +1039,15 @@ msgstr ""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GTK+ Programming Tutorial
 #. document,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4
 msgid "http://zetcode.com/tutorials/gtktutorial/";
 msgstr "http://zetcode.com/tutorials/gtktutorial/";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1
-msgid "Desktop Administrators' Guide to GNOME Lockdown and Preconfiguration"
-msgstr "그놈 기능 제한 및 미리 설정하기에 관한 데스크톱 관리자 안내서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2
-msgid ""
-"Lockdown is the mechanism which is used to bar users using a computing "
-"environnment from performing certain actions (like, for instance, printing "
-"files, or saving files to disk). The GNOME Desktop already has lockdown "
-"support in a few areas (especially the panel and the epiphany web browser). "
-"This document aims to cover all the lockdown features found in GNOME, as "
-"well as act as a guide on how to preconfigure the desktop settings."
-msgstr ""
-"lockdown은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컴퓨터 환경에 제약을 가하는 데 "
-"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어 파일 인쇄나 파일 저장을 못하게 합니다. 그놈 데"
-"스크톱에는 몇몇 부분에서(특히 패널 및 에피파니 웹 브라우저의 경우) 잠금 기능"
-"이 이미 들어 있습니다. 이 문서는 그놈의 모든 잠금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, 데스"
-"크톱 설정을 어떻게 미리 설정할 수 있는지 안내합니다."
-
-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-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Admin Guide to GNOME Lockdown
-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 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5
-msgid ""
-"http://sayamindu.randomink.org/soc/deployment_guide/deployment_guide.html";
-msgstr "-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6
 msgid "Desktop Entry Specification"
 msgstr "데스크톱 엔트리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6
 msgid ""
 "The Desktop Entries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application such as the "
 "name, icon, and description. These files are used for application launchers "
@@ -1059,36 +1060,35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Desktop Entry Specification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39
 msgid ""
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desktop-entry-spec/desktop-entry-spec-";
 "latest.html"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0
 msgid "Menu Specification"
 msgstr "메뉴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1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describes how menus are built up from "
 "desktop entries."
 msgstr ""
-"데스크톱 엔트리에서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freedesktop.org 명세서입"
-"니다."
+"데스크톱 엔트리의 메뉴 구성 방법을 설명하는 freedesktop.org 명세서입니다.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Menu Specification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4
 msgid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menu-spec/menu-spec-lates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5
 msgid "XDG Base Directory Specification"
 msgstr "XDG 베이스 디렉터리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6
 msgid ""
 "Various specifications specify files and file formats. This freedesktop.org "
 "specification defines where these files should be looked for by defining one "
@@ -1101,55 +1101,54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XDG Base Directory Specification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49
 msgid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basedir-spec/basedir-spec-lates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0
 msgid "Icon Theme Specification"
 msgstr "아이콘 테마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1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describes a common way to store icon "
 "themes."
-msgstr ""
-"아이콘 테마를 저장하는 공통 방법을 설명하는 freedesktop.org 명세서입니다."
+msgstr "아이콘 테마 저장 일반 방식을 설명하는 freedesktop.org 명세서입니다.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Icon Theme Specification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4
 msgid ""
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icon-theme-spec/icon-theme-spec-lates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5
 msgid "Icon Naming Specification"
 msgstr "아이콘 이름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6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describes a common way to name icons and "
 "their contexts in an icon theme."
 msgstr ""
-"아이콘과 아이콘 테마의 컨텍스트 이름 짓는 법에 대한 공통 방법을 설명하는 "
-"freedesktop.org 명세서입니다."
+"아이콘과 아이콘 테마의 컨텍스트 작명 일반 방식을 설명하는 freedesktop.org 명"
+"세서입니다."
 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Icon Naming Specification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59
 msgid ""
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icon-naming-spec/icon-naming-spec-latest.";
 "html"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0
 msgid "Desktop Application Autostart Specification"
 msgstr "데스크톱 프로그램 자동 시작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1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describes how applications can be started "
 "automatically after the user has logged in and how media can request a "
@@ -1163,16 +1162,16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Desktop Application Autostart
 #. Specification;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4
 msgid ""
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autostart-spec/autostart-spec-lates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5
 msgid "Desktop Notifications Specification"
 msgstr "개발자 알림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6
 msgid ""
 "This specification standardizes the interface to desktop notification "
 "services."
@@ -1181,17 +1180,17 @@ msgstr "이 명세서는 데스크톱 알림 서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Desktop Notifications
 #. Specification;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69
 msgid ""
 "http://people.gnome.org/~mccann/docs/notification-spec/notification-spec-";
 "latest.html"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0
 msgid "Extended Window Manager Hints"
 msgstr "확장 창 관리자 힌트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1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standardizes extensions to the ICCCM "
 "between X desktops."
@@ -1201,15 +1200,15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Extended Window Manager Hints
 #. Specification;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4
 msgid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wm-spec/wm-spec-latest.html";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5
 msgid "Shared MIME-info Database Specification"
 msgstr "공유 MIME 정보 데이터베이스 명세서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7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6
 msgid ""
 "This freedesktop.org specification attempts to unify the MIME database "
 "systems currently in use by X desktop environments."
@@ -1220,13 +1219,13 @@ msgstr ""
 # 주의: 해당 문서를 번역하기 전에는 빈 상태로 남겨둔다
 #. URL to *translated* version of the Shared MIME-info Specification;
 #. set to dash ("-") if it has not been translated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0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79
 msgid ""
 "http://standards.freedesktop.org/shared-mime-info-spec/shared-mime-info-spec-";
 "latest.html"
 msgstr "-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1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0
 msgid ""
 "The Easy Publish and Consume library (libepc) provides an easy method to "
 "publish data using HTTPS, announce that information via DNS-SD, find that "
@@ -1236,7 +1235,7 @@ msgstr ""
 "배포하고, 그 정보를 DNS-SD를 통해 알리고, 그 정보를 찾고 이용하는 일을 간단"
 "히 할 수 있습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2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1
 msgid ""
 "GNet is a network library, written in C, object-oriented, and built upon "
 "GLib."
@@ -1244,39 +1243,39 @@ msgstr ""
 "GNet은 C언어로 만들어지고 GLib을 기반으로한 객체지향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입니"
 "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3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2
 msgid ""
 "GMime is a powerful MIME 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) utility "
 "library. It is meant for creating, editing, and parsing MIME messages and "
 "structures."
 msgstr ""
-"GMime은 강력한 MIME 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) 유틸리티 라이브러"
+"GMime은 강력한 MIME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) 유틸리티 라이브러"
 "리 입니다. 이는 MIME 메시지와 구조를 생성하고 편집하고 해석함을 의미합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4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3
 msgid ""
 "Tracker is a tool designed to extract information and metadata about user's "
 "personal data so that it can be searched easily and quickly. The libtracker-"
 "common library is the foundation for common procedures used in the daemon "
 "and the indexer."
 msgstr ""
-"트래커는 사용자 개인 데이터에 관한 메타데이터와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계된 툴이"
-"며 이로 인해 금방 쉽게 검색됩니다. libtracker-common 라이브러리는 인덱서와 데"
-"몬 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로시저를 위한 토대입니다."
+"트래커는 사용자 개인 데이터 관련 메타데이터와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계한 도구이"
+"며 이 도구를 통해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 libtracker-common 라이브러"
+"리는 인덱서와 데몬 내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로시저의 토대입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5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4
 msgid ""
 "Tracker is a tool designed to extract information and metadata about user's "
 "personal data so that it can be searched easily and quickly. The libtracker-"
 "module library helps developers write third party modules to extract content "
 "not commonly supported by Tracker."
 msgstr ""
-"Tracker는 사용자 개인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설계된 "
-"툴이며 이를 통해 금방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 libtracker-module 라이브러리"
-"는 트래커에 의해 일반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내용을 추출하기 위한 서드파티 모듈"
-"을 개발자들이 작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"
+"트래커는 사용자 개인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계한 도구"
+"이며 트래커를 통해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 libtracker-module 라이브러"
+"리는 트래커에서 보통 지원하지 않는 내용을 추출하는 서드파티 모듈을 개발자가 "
+"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"
 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6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5
 msgid ""
 "Grilo is a framework that provides access to different sources of multimedia "
 "content, using a pluggable system."
@@ -1284,15 +1283,18 @@ msgstr ""
 "그릴로(Grilo)는 플러거블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트 원본"
 "에 대한 접근 수단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입니다."
 
+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6
+msgid "grilo-plugins is a collection of plugins for the Grilo framework."
+msgstr "grilo-plugins는 그릴로 프레임워크의 플러그인 모음입니다."
+
 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7
 msgid "GObject-based API for the Discident and EAN lookup services."
-msgstr "Discident과 EAN 검색 서비스를 위한 GObject 기반 API입니다."
+msgstr "Discident과 EAN 검색 서비스용 GObject 기반 API입니다."
 
 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8
 msgid ""
 "libgxps is a GObject based library for handling and rendering XPS documents."
-msgstr ""
-"libgxps는 XPS 문서를 다루고 렌더링하기 위한 GObject 기반 라이브러리 입니다."
+msgstr "libgxps는 XPS 문서를 다루고 렌더링하는 GObject 기반 라이브러리 입니다."
 
 #: ../data/overlay.xml.in.h:189
 msgid "Release Notes"
@@ -1303,61 +1305,81 @@ msgid ""
 "GNOME has a time-based release schedule. This means that there is a new "
 "GNOME release with accompanying notes every six months, to the minute."
 msgstr ""
-"GNOME은 일정에 맞춘 출시 일정을 갖고 있습니다. 이는 6개월에 한번씩 새로운 "
-"GNOME과 그에 상응하는 문서를 출시하는 계획을 철저히 따른다는 뜻입니다.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1
-msgid "Getting Involved"
-msgstr "참여하기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2
-msgid ""
-"So you want to get involved with GNOME. This will show you how to become a "
-"member of the GNOME community. There are several sub-projects to choose from."
-msgstr ""
-"GNOME 개발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? 여기에 GNOME 공동체의 회원이 되는 방법이 있"
-"습니다.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여러가지 하위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.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3
-msgid "GNOME Bug Tracker"
-msgstr "GNOME 버그 관리자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4
-msgid ""
-"The GNOME Bug Tracker allows you to send information about bugs you "
-"encounter to the GNOME developers in an organized manner."
-msgstr ""
-"그놈 버그 트래커는 여러분이 파악한 버그 정보를 계획된 방식 대로 그놈 개발자에"
-"게 보낼 수 있도록 합니다.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5
-msgid "Release Planning"
-msgstr "출시 계획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6
-msgid "A feast of essential GNOME future planning information."
-msgstr "GNOME의 향후 계획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입니다.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7
-msgid "Developer Scripts"
-msgstr "개발자 스크립트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8
-msgid ""
-"A collection of useful scripts to help developers accomplish simple (often "
-"repetitive) tasks."
-msgstr ""
-"개발자들이(종종 반복되는) 단순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스크립트 모"
-"음입니다.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199
-msgid "GNOME Git Repository"
-msgstr "GNOME Git 저장소"
-
-#: ../data/overlay.xml.in.h:200
-msgid ""
-"The GNOME Git Tree holds the latest development versions of the main GNOME "
-"packages, and allows coordination of GNOME development."
-msgstr ""
-"그놈 Git 트리는 메인 그놈 패키지의 최신 개발 버전을 유지하며, 그놈 개발을 관"
-"리하도록 해줍니다."
+"GNOME은 시간 기반 출시 일정이 있습니다. 이는 6개월에 한번씩 새로운 GNOME 릴리"
+"즈와 그에 상응하는 문서를 내놓을 계획을 철저히 따른다는 뜻입니다."
+
+#~ msgid "more versions, languages, or options..."
+#~ msgstr "다른 버전, 언어, 옵션..."
+
+#~ msgid "10-minute Tutorials"
+#~ msgstr "10분 따라하기"
+
+#~ msgid "Get ready for GNOME Development"
+#~ msgstr "그놈 개발을 위한 준비"
+
+#~ msgid "Download GNOME Development Tools"
+#~ msgstr "그놈 개발 도구 다운로드"
+
+#~ msgid "Platform Overview"
+#~ msgstr "플랫폼 개요"
+
+#~ msgid "API Documentation"
+#~ msgstr "API 문서"
+
+#~ msgid ""
+#~ "The guides provide the common practices used in code and interface design "
+#~ "within the GNOME platform as well as detailed knowledge about some "
+#~ "applications and components."
+#~ msgstr ""
+#~ "이 안내서에는 그놈 플랫폼의 코드와 인터페이스 설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"
+#~ "방법들을 설명합니다. 또 일부 프로그램과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들"
+#~ "어 있습니다."
+
+#~ msgid "References"
+#~ msgstr "참고"
+
+#~ msgid ""
+#~ "The references contain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, list of "
+#~ "functions, classes and methods of the GNOME platform libraries and the "
+#~ "standards used within the GNOME platform."
+#~ msgstr ""
+#~ "이 참고서에는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, 그놈 플랫폼 라이브러"
+#~ "리의 함수, 클래스, 메소드와 그놈 플랫폼에 사용하는 표준이 들어 있습니다."
+
+#~ msgid "Development Tools"
+#~ msgstr "개발 도구"
+
+#~ msgid ""
+#~ "The GNOME developer suite is a set of tools to ease the life of "
+#~ "developers; it features a graphical interface builder, an integrated help "
+#~ "system for API reference and more."
+#~ msgstr ""
+#~ "그놈 개발자 모음은 개발자의 삶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 도구의 모음입니다. 그"
+#~ "래픽 인터페이스 빌더, API 참고서의 통합 도움말 시스템 등이 들어 있습니다."
+
+#~ msgid "GNOME Development"
+#~ msgstr "그놈 개발"
+
+#~ msgid ""
+#~ "Various links to learn more about GNOME development and how to get "
+#~ "involved."
+#~ msgstr ""
+#~ "다양한 링크를 통해 그놈 개발에 대해 배우고 어떻게 참여할지 배웁니다."
+
+#~ msgid "Desktop Administrators' Guide to GNOME Lockdown and Preconfiguration"
+#~ msgstr "그놈 기능 제한 및 미리 설정하기에 관한 데스크톱 관리자 안내서"
+
+#~ msgid ""
+#~ "Lockdown is the mechanism which is used to bar users using a computing "
+#~ "environnment from performing certain actions (like, for instance, "
+#~ "printing files, or saving files to disk). The GNOME Desktop already has "
+#~ "lockdown support in a few areas (especially the panel and the epiphany "
+#~ "web browser). This document aims to cover all the lockdown features found "
+#~ "in GNOME, as well as act as a guide on how to preconfigure the desktop "
+#~ "settings."
+#~ msgstr ""
+#~ "lockdown은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컴퓨터 환경에 제약을 가하는 "
+#~ "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어 파일 인쇄나 파일 저장을 못하게 합니다. "
+#~ "그놈 데스크톱에는 몇몇 부분에서(특히 패널 및 에피파니 웹 브라우저의 경우) "
+#~ "잠금 기능이 이미 들어 있습니다. 이 문서는 그놈의 모든 잠금 기능에 대해 설"
+#~ "명하고, 데스크톱 설정을 어떻게 미리 설정할 수 있는지 안내합니다."


[Date Prev][Date Next]   [Thread Prev][Thread Next]   [Thread Index] [Date Index] [Author Index]